국책산업연구원 양현봉 박사인터뷰!

▲ 산업연구원 전경

세종시 국책연구단지에 있는 산업연구원을 방문해 35년간 중소기업정책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양현봉 박사를 만나 어렵게 인터뷰를 부탁했다.

양현봉 박사는 경제학자로 35년간 우리나라 중소기업 정책을 연구해온 산 증인이다. 그 공로로 2003년 「대통령표창」과 2012년 「산업포장」 등 다수의 정부 표창을 수여 받았다. 현재는 산업연구원(KIET) 선임연구위원으로 중기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이며, 창업진흥원 이사, 한국중소기업학회 부회장, 건국대 대학원 겸임교수, 행안부 제도진단 및 개선 자문위원, 국무조정실 정책평가위원회 자문위원, 중소기업진흥공단 운영위원 등을 역임하였다.​

양현봉 박사는 35년간 100여건이 넘는 중소기업 정책 보고서를 저술했으며, 특히 창업, 중소기업 간 융합(네트워크)화, 기술사업화, 정책자금, 기업가정신, 규제개혁 등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해오고 있다.​

▲ 양현봉 박사(산업연구원)

양현봉 박사의 주요 연구보고서로는 ▲혁신성장 지향형 기술사업화의 효율적 지원방안 ▲청소년 비즈쿨 장기 발전방안 ▲창업 및 벤처기업의 구조적 문제점과 정책과제 ▲중소기업 기술사업화의 문제점과 정책과제 ▲중소기업의 네트워크 협력 실태와 발전과제 ▲창업정책의 실효성 제고방안 ▲지역창업·혁신 생태계 스코어보드 지표개발 및 정책제언 ▲정책금융기관으로서 신보의 역할 재정립 및 정책제언 ▲중소기업의 네트워크형 산업생태계구축방안 ▲기술사업화 지원사업 사업확대 및 전략수립연구 ▲창업정책 추진 실태와 효율화 방안 ▲중소기업의 구조변화 실태와 발전과제 ▲중소기업간 협력기술개발 활성화 및 발전전략수립 ▲기술사업화 지원사업 성과분석 및 발전전략수립▲6차 산업화 정책 추진실태와 발전과제 ▲중소기업 성장장벽 유형과 활성화 방안(공저) ▲여성지식기술창업 실태 및 활성화 방안 ▲창업지원정책의 추진실태와 개선방안 ▲청년창업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 방안 ▲중소기업 융합활동 실태 및 활성화 방안 ▲중소기업 정책자금과 금융기관 자금간 지원방식 차별화 방안 ▲창업기업의 행태 및 성과분석 ▲중소기업 간 지식·기술융합화와 신사업 창출 방안 ▲기업가정신 육성 및 기업친화정책을 통한 잠재성장률 제고방안 ▲창업절차 간소화 방안 ▲중소기업 정책자금의 차별성 및 유효성 강화방안 ▲법인설립제도 개선방안 ▲법인·공장설립절차 개혁방안 ▲창업절차 간소화 및 창업비용 절감방안 ▲창업보육정책 평가와 발전방안 ▲벤처기업 실태 및 육성전략 등이 있다.

양 박사는 중소·벤처기업의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▲제7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-중소기업부분 ▲신경제 5개년 계획(1993~97)-중소기업 부문 ▲「국민의 정부」 경제청사진-중소·벤처기업부분 ▲2010년대 중소기업 발전 중장기 비전 ▲중소기업 발전비전과 육성전략-도전과 혁신 도약의 길 등에 참여하여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였다. 또한 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의 대통령 보고 자료인 ▲창업절차 간소화 방안(2008.4) ▲중소기업 지원제도 개혁방안(2008.8) 국민경제자문회의 대통령경제보고서인 ▲동반성장을 위한 새로운 비전과 전략-중소기업부분: 중소기업 혁신역량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(2007.2) 대통령 서면 보고 자료인 ▲청년창업 정책의 추진실태와 향후과제(2011.4), ▲중소기업 현장 기능인력 수급 실태와 개선방안(2012.11) 중소·벤처기업 정책평가 및 제도개선 보고서 ▲2003~2007년도 정부업무(중기청, 산자부평가) ▲2008~2011년도 정부업무(중기청, 산자부평가) 등을 작성하였다.​

양 박사의 중소·벤처기업정책 연구 자료는 온라인에서 뿐만 아니라, 단행본으로도 발간되어 판매되고 있다. 최근에 발간한 「창업정책의 실효성 제고 방안」은 창업정책의 실태를 분석하고 정책방향을 제시한 필독서이기도 하다. 2014년 발간한 “여성 지식기술창업 실태 및 활성화 방안” 보고서에서는 "21세기에는 여성 특유의 감성, 창의성, 섬세함 등을 기업활동으로 연계하기 위한 체계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"고 주장하였다.​

양현봉 박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정책의 이념과 방향도 새롭게 설정해야 하며, 급격하게 추격해오는 중국 등 개도국을 직시하면서 체계적인 대응전략을 마련해야 대한민국의 미래가 있다고 강조했다. 질 좋은 창업과 실효성 있는 R&D, 인력수급, 기술사업화, 신시장 개척 등 선순환 중소기업 생태계 조성을 통해 실질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하며, 이를 위해 정부는 중소·벤처기업 중심 경제구현을 위한 현장밀착형 정책개발에 주력하여 국가 백년대계의 큰 틀을 잡아나가야 한다고 밝혔다.

저작권자 © 뉴스포르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